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컨설팅/실버부동산

미국의 시니어 시장


비즈니스 세계는 ‘노인의 열정’을 무시하고 있다.
인구통계 흐름뿐 아니라 금전적인 측면에서도 막대한 시장을 보지 못하고 있다.
50세 이상인 인구 통계 집단은 이미 막대한 자산을 축적했을 뿐 아니라 여전히 가장 많은 돈을 벌어들인다.
2001년 50세 이상 미국인들이 미국 내 총 자산의 69%에 해당하는 29조 1,000억 달러의 순 자산을 소유했다.
이 수치는 1983년 같은 연령대가 소유한 순자산 규모에서 56%나 껑충 뛴 수준이다.
미국 조사통계국과 연방준비제도에서 수집한 데이터에 따르면 55~64세가 가장인 가정의 2000년 평균 순자산은 11만 2,000달러로 35세 이하의 평균 순자산7200달러보다 열 다섯 배나 높다.


‘건강한 노화(Age Power)’의 저자 Ken Dychtwald는 20년 이상 노인관련 시장을 다뤘다.
다음은 50대 이상 노인 소비자의 구매력에 관해 그가 제시하는 통계수치다.


- 놀랍게도 그들은(정확히 말하면 그들의 79%) 자기 집을 소유하고 있다.
- 그들 중 4,000만 명이 신용카드 사용자다.
- 그들은 신차의 41%와 고급 승용차의 48%를 구매한다.
- 그들은 의료비에 6100억 달러를 소비하며 처방약의 74%를 구매한다.


통계수치를 처음 접했을 때 Dychtwald는 도무지 이해할 수가 없었다.
그리고 그들을 타깃으로 삼는 광고비가 전체 광고비의 고작 5%에 지나지 않는 점을 지적하였다.


노인관련 시장은 엄청난 잠재력이 있지만 여전히 초기 도입기에 불과한 시장이다.
그리고 여기에 기회가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아직 대부분의 기업들이 이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입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몇몇 기업들은 소극적이지만 노인관련 시장에 눈을 뜨고 있기도 하다.
이에 여기에서는 ‘이코노니스트’에 실린 노인관련 시장에 눈을 뜬 기업에 관련된 기사를 통해 노인관련 시장에서 기업들이 실질적으로 어떤 제품들을 내놓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1. 화장품

2001년에 화장품 제조업체 L’Oreal은 쉰 일곱 살인 프랑스 여배우 카트린 드뇌브와 전속 모델 계약을 맺었다. Estee Lauder는 1970년대에 활동하던 모델 카렌 그레이엄과 계약했다.


2. 마가린 
한참 고전을 면치 못하던 유니레버의 마가린 부문은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부대 효과가 있는 Pro-active마가린을 출시하면서 되살아났다.


3. 미네랄워터

Danone은 칼슘이 풍부한 미네랄워터를 출시했다. 특히 노인을 배려해 용기의 활자를 크게 만들고 따기 쉬운 병마개를 사용했다.


4. 전화 
NTT DOCOMO는 버튼과 숫자가 큰 새로운 휴대폰 Raku-Raku(일본말로 쉽다는 뜻이다.)를 선보였다. 흥미로운 사실은 젊은이들도 라쿠라쿠 휴대폰을 좋아한다는 것이다.


'부동산 컨설팅 > 실버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의 실버산업  (0) 2008.11.21
2008 광주국제실버박람회  (0) 2008.11.21
실버산업의 필요성  (0) 2008.11.21
건강문화클러스터  (0) 2008.11.13
분당 실버타운  (0) 2008.11.13